문제

문제 설명

정수로 이루어진 배열 numbers가 있습니다. 배열 의 각 원소들에 대해 자신보다 뒤에 있는 숫자 중에서 자신보다 크면서 가장 가까이 있는 수를 뒷 큰수라고 합니다.

정수 배열 number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모든 원소에 대한 뒷 큰수들을 차례로 담은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단, 뒷 큰수가 존재하지 않는 원소는 -1을 담습니다.


제한사항

  • 4 ≤ numbers의 길이 ≤ 1,000,000
    • 1 ≤ numbers[i] ≤ 1,000,000

입출력 예

numbers result

[2, 3, 3, 5] [3, 5, 5, -1]
[9, 1, 5, 3, 6, 2] [-1, 5, 6, 6, -1, -1]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2의 뒷 큰수는 3입니다. 첫 번째 3의 뒷 큰수는 5입니다. 두 번째 3 또한 마찬가지입니다. 5는 뒷 큰수가 없으므로 -1입니다. 위 수들을 차례대로 배열에 담으면 [3, 5, 5, -1]이 됩니다.

입출력 예 #2

9는 뒷 큰수가 없으므로 -1입니다. 1의 뒷 큰수는 5이며, 5와 3의 뒷 큰수는 6입니다. 6과 2는 뒷 큰수가 없으므로 -1입니다. 위 수들을 차례대로 배열에 담으면 [-1, 5, 6, 6, -1, -1]이 됩니다.

풀이

numbers의 길이가 1,000,000 이므로, 완전탐색으로는 풀 수 없는 문제이다.

Stack을 통해 뒤의 인덱스 부터 접근하여 비교할 경우 시간을 줄일 수 있을것이라고 생각하고 구현했다.

코드

import java.util.Stack;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numbers) {
        // stack + 뒤에서 접근 한다면 풀릴거같다.
        Stack<Integer> stack = new Stack<>();
        Stack<Integer> result = new Stack<>();

        // 가장 마지막 원소는 항상 -1이다.
        stack.add(numbers[numbers.length-1]);
        result.add(-1);
        for (int i = numbers.length - 2 ; i >= 0; i--) {
            while(!stack.isEmpty()) {
                if (stack.peek() > numbers[i]) {
                    result.add(stack.peek());
                    break;
                } else {
                    stack.pop();
                }
            }
            if (stack.isEmpty())
                result.add(-1);

            stack.add(numbers[i]);
        }
        
        int[] answer = new int[numbers.length];
        for (int i = 0; i < numbers.length; i++) {
            answer[i] = result.pop();
        }
        return answer;
    }
}

문제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힌 사람 정답 비율

2 초 256 MB 87846 23673 14467 24.067%

문제

그래프의 정점의 집합을 둘로 분할하여, 각 집합에 속한 정점끼리는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분할할 수 있을 때, 그러한 그래프를 특별히 이분 그래프 (Bipartite Graph) 라 부른다.

그래프가 입력으로 주어졌을 때, 이 그래프가 이분 그래프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입력은 여러 개의 테스트 케이스로 구성되어 있는데,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 K가 주어진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그래프의 정점의 개수 V와 간선의 개수 E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 각 정점에는 1부터 V까지 차례로 번호가 붙어 있다. 이어서 둘째 줄부터 E개의 줄에 걸쳐 간선에 대한 정보가 주어지는데, 각 줄에 인접한 두 정점의 번호 u, v (u ≠ v)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출력

K개의 줄에 걸쳐 입력으로 주어진 그래프가 이분 그래프이면 YES, 아니면 NO를 순서대로 출력한다.

제한

  • 2 ≤ K ≤ 5
  • 1 ≤ V ≤ 20,000
  • 1 ≤ E ≤ 200,000

풀이

이분 그래프란?

그래프의 정점의 집합을 둘로 분할하여, 각 집합에 속한 정점끼리는 서로 인접하지 않도록 분할할 수 있어야 한다.

나의 경우 bfs 탐색을 통해 depth가 증가할 때 마다 colors 배열의 값을 토글시켜줬다. 만약 현재 정점이 방문 가능한 정점의 인덱스가 colors 배열에 값이 있다면 현재 정점의 인덱스와 비교하여 같은 값을 가지고 있다면 이분 그래프가 아니다.

만약 colors 배열의 새로운 정점의 인덱스 위치에 값이 0이라면, 현재 인덱스의 값을 토글하여 저장한다.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colors;
    static ArrayList<Integer>[] arrayLists;
    static int V;
    static int E;
    static String res;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testCaseCount =  Integer.parseInt(st.nextToken());
        
        for (int i = 0; i < testCaseCount;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V = Integer.parseInt(st.nextToken());
            E = Integer.parseInt(st.nextToken());
            colors = new int[V];
            arrayLists = new ArrayList[V];
            for (int j = 0; j < V; j++) {
                arrayLists[j] = new ArrayList<>();
            }
            for (int j = 0; j < E; j++)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first = Integer.parseInt(st.nextToken())-1;
                int second = Integer.parseInt(st.nextToken())-1;
                arrayLists[first].add(second);
                arrayLists[second].add(first);
            }
            res = "YES";
            for (int j = 0; j < V; j++) {
                if (colors[j] == 0)
                    bfs(j);
            }
            sb.append(res).append("\\n");
        }
        System.out.println(sb);
    }
    static void bfs(int v) {
        Queue<Integer> queue = new LinkedList<>();
        queue.add(v);
        colors[v] = 1;
        while (!queue.isEmpty()) {
            int val = queue.poll();
            for (int vertex : arrayLists[val]) {
                if (colors[vertex] == 0) { // 0이면 색칠 안된 곳
                    colors[vertex] = colors[val] * -1;
                    queue.add(vertex);
                }
                if (colors[vertex] == colors[val]) {
                    res = "NO";
                    return;
                }
            }
        }
    }
}

문제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힌 사람 정답 비율

1 초 256 MB 37117 9871 6578 24.587%

문제

상근이는 빈 공간과 벽으로 이루어진 건물에 갇혀있다. 건물의 일부에는 불이 났고, 상근이는 출구를 향해 뛰고 있다.

매 초마다, 불은 동서남북 방향으로 인접한 빈 공간으로 퍼져나간다. 벽에는 불이 붙지 않는다. 상근이는 동서남북 인접한 칸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1초가 걸린다. 상근이는 벽을 통과할 수 없고, 불이 옮겨진 칸 또는 이제 불이 붙으려는 칸으로 이동할 수 없다. 상근이가 있는 칸에 불이 옮겨옴과 동시에 다른 칸으로 이동할 수 있다.

빌딩의 지도가 주어졌을 때, 얼마나 빨리 빌딩을 탈출할 수 있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테스트 케이스의 개수가 주어진다. 테스트 케이스는 최대 100개이다.

각 테스트 케이스의 첫째 줄에는 빌딩 지도의 너비와 높이 w와 h가 주어진다. (1 ≤ w,h ≤ 1000)

다음 h개 줄에는 w개의 문자, 빌딩의 지도가 주어진다.

  • '.': 빈 공간
  • '#': 벽
  • '@': 상근이의 시작 위치
  • '*': 불

각 지도에 @의 개수는 하나이다.

출력

각 테스트 케이스마다 빌딩을 탈출하는데 가장 빠른 시간을 출력한다. 빌딩을 탈출할 수 없는 경우에는 "IMPOSSIBLE"을 출력한다.

풀이

BFS로 풀 수 있는 문제였다.

  1. 배열을 벽, 불, 상근이, 빈 공간 으로 나눠서 값을 업데이트 해준다.
  2. 움직일 수 있는 사람이 있는지 확인
  3. 현재 시점에 불들을 4 방향으로 불을 퍼뜨린다 (시간이 없을 경우 한번에 불 다붙이고 끝나버림)
  4. 현재 시점에 사람을 4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5. 만약 사람이 배열의 끝 부분에 도착했다면 가장 빨리 도착한 경우 업데이트 해준다.

푸는데 중요했던 부분은 두가지가 있었다.

불이 2개가 붙어있다면, 주기마다 2개의 불을 다 이동시켜야 하는 것

빌딩을 탈출하는데에 가장 빠른 시간을 출력하는 것

 

package com.company.baekjoon;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public class B5427 {
    static final int WALL = -2;
    static final int FIRE = -1;
    static final int EMPTY_SPACE = 0;
    static final int PERSON = 1;

    static int[] dx = new int[] {-1,1,0,0};
    static int[] dy = new int[] {0,0,-1,1};
    static int[][] graph;
    static Queue<int[]> fires = new LinkedList<>();
    static Queue<int[]> person = new LinkedLi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int T = Integer.parseInt(br.readLine());

        for (int i = 0; i < T; i++) {
            String[] size = br.readLine().split(" ");
            int w = Integer.parseInt(size[0]);
            int h = Integer.parseInt(size[1]);
            graph = new int[h][w];
            fires.clear();
            person.clear();
            int answer = Integer.MAX_VALUE;
            int time = 0;
            for (int j = 0; j < h; j++) {
                char[] s = br.readLine().toCharArray();
                for (int k = 0; k < s.length; k++) {
                    if (s[k] == '#') {
                        graph[j][k] = WALL;
                    } else if (s[k] == '.') {
                        graph[j][k] = EMPTY_SPACE;
                    } else if (s[k] == '*') {
                        graph[j][k] = FIRE;
                        fires.add(new int[] {j,k,0});
                    } else {
                        graph[j][k] = PERSON;
                        person.add(new int[]{j,k,0});
                    }
                }
            }
            // 불 먼저 움직이고 사람 움직이기
            while (!person.isEmpty()) {
                while (fires.peek() != null && fires.peek()[2] == time ) {
                    int[] fire = fires.poll();
                    for (int j = 0; j < dx.length; j++) {
                        int cy = fire[0] + dy[j];
                        int cx = fire[1] + dx[j];

                        if (cx < 0 || cy < 0 || cx >= w || cy >= h) continue;
                        if (graph[cy][cx] == FIRE) continue;
                        if (graph[cy][cx] != WALL) {
                            graph[cy][cx] = FIRE;
                            fires.add(new int[]{cy, cx, fire[2] + 1});
                        }
                    }
                }

                while (person.peek() != null && person.peek()[2] == time) {
                    int[] p = person.poll();
                    for (int j = 0; j < dx.length; j++) {
                        int cy = p[0] + dy[j];
                        int cx = p[1] + dx[j];

                        if (cx < 0 || cy < 0 || cx >= w || cy >= h) {
                            answer = Math.min(answer,p[2]);
                            break;
                        }
                        if (graph[cy][cx] == EMPTY_SPACE) {
                            graph[cy][cx] = PERSON;
                            person.add(new int[]{cy, cx, p[2] + 1});
                        }
                    }
                }
                time++;
            }
            if (answer == Integer.MAX_VALUE)
                sb.append("IMPOSSIBLE").append("\n");
            else
                sb.append(answer+1).append("\n");
        }
        System.out.println(sb);
    }
}

문제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힌 사람 정답 비율

1 초 (추가 시간 없음) 1024 MB 11094 4316 2704 35.514%

문제

상어 중학교의 코딩 동아리에서 게임을 만들었다. 이 게임은 크기가 N×N인 격자에서 진행되고, 초기에 격자의 모든 칸에는 블록이 하나씩 들어있고, 블록은 검은색 블록, 무지개 블록, 일반 블록이 있다. 일반 블록은 M가지 색상이 있고, 색은 M이하의 자연수로 표현한다. 검은색 블록은 -1, 무지개 블록은 0으로 표현한다. (i, j)는 격자의 i번 행, j번 열을 의미하고, |r1 - r2| + |c1 - c2| = 1을 만족하는 두 칸 (r1, c1)과 (r2, c2)를 인접한 칸이라고 한다.

블록 그룹은 연결된 블록의 집합이다. 그룹에는 일반 블록이 적어도 하나 있어야 하며, 일반 블록의 색은 모두 같아야 한다. 검은색 블록은 포함되면 안 되고, 무지개 블록은 얼마나 들어있든 상관없다. 그룹에 속한 블록의 개수는 2보다 크거나 같아야 하며, 임의의 한 블록에서 그룹에 속한 인접한 칸으로 이동해서 그룹에 속한 다른 모든 칸으로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블록 그룹의 기준 블록은 무지개 블록이 아닌 블록 중에서 행의 번호가 가장 작은 블록, 그러한 블록이 여러개면 열의 번호가 가장 작은 블록이다.

오늘은 이 게임에 오토 플레이 기능을 만드려고 한다. 오토 플레이는 다음과 같은 과정이 블록 그룹이 존재하는 동안 계속해서 반복되어야 한다.

  1. 크기가 가장 큰 블록 그룹을 찾는다. 그러한 블록 그룹이 여러 개라면 포함된 무지개 블록의 수가 가장 많은 블록 그룹, 그러한 블록도 여러개라면 기준 블록의 행이 가장 큰 것을, 그 것도 여러개이면 열이 가장 큰 것을 찾는다.
  2. 1에서 찾은 블록 그룹의 모든 블록을 제거한다. 블록 그룹에 포함된 블록의 수를 B라고 했을 때, B점을 획득한다.
  3. 2
  4. 격자에 중력이 작용한다.
  5. 격자가 9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6. 다시 격자에 중력이 작용한다.

격자에 중력이 작용하면 검은색 블록을 제외한 모든 블록이 행의 번호가 큰 칸으로 이동한다. 이동은 다른 블록이나 격자의 경계를 만나기 전까지 계속 된다.

다음은 N = 5, M = 3인 경우의 예시이다.

2 2 -1 3 1

3 3 2 0 -1
0 0 0 1 2
-1 3 1 3 2
0 3 2 2 1

여기서 찾을 수 있는 크기가 가장 큰 블록 그룹을 다음과 같이 빨간색으로 표시했다.

2 2 -1 3 1

3 3 2 0 -1
0 0 0 1 2
-1 3 1 3 2
0 3 2 2 1

블록 그룹이 제거되면 다음과 같이 변하고, 점수 82점을 획득한다.

2 2 -1 3 1

    2 0 -1
      1 2
-1   1 3 2
    2 2 1

중력이 작용하면 다음과 같이 변한다.

-1 3 1

      0 -1
2   2 1 2
-1   1 3 2
  2 2 2 1

90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 2 2 1

3 0 1 3 2
-1   2 1 2
        2
    2 -1  

다시 여기서 중력이 작용하면 다음과 같이 변한다.

1 -1

3   2 2 1
-1   1 3 2
    2 1 2
  0 2 -1 2

오토 플레이가 모두 끝났을 때 획득한 점수의 합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격자 한 변의 크기 N, 색상의 개수 M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격자의 칸에 들어있는 블록의 정보가 1번 행부터 N번 행까지 순서대로 주어진다. 각 행에 대한 정보는 1열부터 N열까지 순서대로 주어진다. 입력으로 주어지는 칸의 정보는 -1, 0, M이하의 자연수로만 이루어져 있다.

출력

첫째 줄에 획득한 점수의 합을 출력한다.

제한

  • 1 ≤ N ≤ 20
  • 1 ≤ M ≤ 5

풀이

소요 시간

100분

문제에 제시된 오토 플레이 기능을 그대로 구현하면 된다.

  1. BFS를 통해 가장 큰 블록 그룹을 구한다.
  2. 블록 그룹을 제거한다. (EMPTY_BLOCK 으로 마킹했다.)
  3. 중력을 적용한다
  4. 90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5. 중력을 적용한다.
  6. 1~5를 반복한다. 만약 1번 수행 후 가장 큰 블록 그룹의 블록 갯수가 2개 미만이라면 종료한다.

헤맸던 부분

블록 그룹의 기준 블록은 무지개 블록이 아닌 블록 중에서 행의 번호가 가장 작은 블록, 그러한 블록이 여러개면 열의 번호가 가장 작은 블록이다.

이거 잘못 읽어서 행 길이, 열 길이로 구했다가 한 20분 날려먹었다 문제 잘읽자..

코드

package com.company.baekjoon;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B21609 {
    static int[] dx = new int[] {-1,1,0,0};
    static int[] dy = new int[] {0,0,-1,1};

    static int N;
    static int M;
    static int[][] arr;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answer = 0;

    static int cnt = 0; // 블록 갯수
    static int rainbowCnt = 0; // 무지개 블록 갯수
    static int targetI = 0; // 행 번호
    static int targetJ = 0; // 열 번호
    static int target = 0;
    static int EMPTY_BLOCK = -2;
    static ArrayList<int[]> targetList = new ArrayLi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M = Integer.parseInt(st.nextToken());

        arr = new int[N][N];
        visited = new boolean[N][N];

        for (int i = 0; i < 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j = 0; j < N; j++) {
                arr[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while (true) {
            visited = new boolean[N][N];
            cnt = 0; // 블록 갯수
            rainbowCnt = 0; // 무지개 블록 갯수
            targetI = 0; // 행 갯수
            targetJ = 0; // 열 갯수
            target = 0;
            targetList.clear();
            // BFS로 가장 큰 블록 탐색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if (!visited[i][j] && arr[i][j] != -1 && arr[i][j] != 0 && arr[i][j] != EMPTY_BLOCK) {
                        visited[i][j] = true;
                        bfs(i,j);

                    }
                }
            }

            if (cnt < 2) break;

            answer += cnt*cnt;

            // 가장 큰 블록 없애기
            setBlockEmpty();

            // 블록에 중력 적용하기
            gravity();

            // 90도 반시계 방향 회전
            rotation();

            // 블록에 중력 적용하기
            gravity();
        }
        System.out.println(answer);
    }
    public static void bfs(int i, int j) {
        int cCnt = 1; // 블록 갯수
        int cRainbowCnt = 0; // 무지개 블록 갯수
        int cTargetI = i; // 행 번호
        int cTargetJ = j; // 열 번호
        int cTarget = arr[i][j];
        ArrayList<int[]> cTargetList = new ArrayList<>();
        cTargetList.add(new int[] {i,j});
        Queue<int[]> queue = new LinkedList<>();
        queue.add(new int[] {i,j});
        while (!queue.isEmpty()) {
            int[] value = queue.poll();

            for (int k = 0; k < dx.length; k++) {
                int cx = value[0] + dx[k];
                int cy = value[1] + dy[k];

                if (cx < 0 || cy < 0 || cx >= N || cy >= N) continue;
                if (visited[cx][cy]) continue;
                if (arr[i][j] == arr[cx][cy]) {
                    cCnt++;
                    queue.add(new int[] {cx, cy});
                    cTargetList.add(new int[] {cx,cy});
                    visited[cx][cy] = true;
                } else if (arr[cx][cy] == 0) {
                    cCnt++;
                    cRainbowCnt++;
                    queue.add(new int[] {cx, cy});
                    cTargetList.add(new int[] {cx,cy});
                    visited[cx][cy] = true;
                }
            }
        }
        if (cTargetList.size() < 2) return;
        selectTarget(cCnt, cRainbowCnt, cTargetI, cTargetJ, cTarget, cTargetList);

        for (int k = 0; k < cTargetList.size(); k++) {
            // 타겟이 선정되고 난 후 값이 0인 위치는 공유 가능하므로 다시 visited를 false로 변경해준다.
            int[] t = cTargetList.get(k);
            if (arr[t[0]][t[1]] == 0)
                visited[t[0]][t[1]] = false;
        }

    }
    public static void selectTarget(int cCnt, int cRainbowCnt, int cTargetI, int cTargetJ, int cTarget, ArrayList<int[]> cTargetList) {
        if (cCnt> cnt) {
            cnt = cCnt;
            rainbowCnt = cRainbowCnt;
            targetI = cTargetI;
            targetJ = cTargetJ;
            target = cTarget;
            targetList = cTargetList;
        } else if (cCnt == cnt) {
            if (cRainbowCnt > rainbowCnt) {
                cnt = cCnt;
                rainbowCnt = cRainbowCnt;
                targetI = cTargetI;
                targetJ = cTargetJ;
                target = cTarget;
                targetList = cTargetList;
            } else if (cRainbowCnt == rainbowCnt) {
                if (cTargetI > targetI) {
                    cnt = cCnt;
                    rainbowCnt = cRainbowCnt;
                    targetI = cTargetI;
                    targetJ = cTargetJ;
                    target = cTarget;
                    targetList = cTargetList;
                } else if (cTargetI == targetI) {
                    if (cTargetJ > targetJ) {
                        cnt = cCnt;
                        rainbowCnt = cRainbowCnt;
                        targetI = cTargetI;
                        targetJ = cTargetJ;
                        target = cTarget;
                        targetList = cTargetList;
                    }
                }
            }
        }
    }
    public static void setBlockEmpty() {
        for (int i = 0; i < targetList.size(); i++) {
            int[] target = targetList.get(i);
            arr[target[0]][target[1]] = EMPTY_BLOCK;
        }
    }
    public static void gravity() {
        for(int i = 0; i < N; ++i)
        {
            for(int j = N-1; j >= 0; --j)
            {
                if(arr[j][i] == EMPTY_BLOCK || arr[j][i] == -1) continue;
                int idx = j+1;
                while(true)
                {
                    if(idx == N) break;
                    if(arr[idx][i] == EMPTY_BLOCK) idx++;
                    else break;
                }
                if(idx == j+1) continue;
                arr[idx-1][i] = arr[j][i];
                arr[j][i] = EMPTY_BLOCK;
            }
        }
    }
    public static void rotation() {
        int [][] tmp = new int[N][N];
        for(int i = 0; i < N; ++i)
        {
            for(int j = 0; j < N; ++j)
            {
                tmp[N-j-1][i] = arr[i][j];
            }
        }
        for(int i = 0; i < N; ++i)
        {
            System.arraycopy(tmp[i],0,arr[i],0,N);
        }
    }
}

문제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힌 사람 정답 비율

2 초 128 MB 3585 1277 1001 37.323%

문제

한글 프로그램의 메뉴에는 총 N개의 옵션이 있다. 각 옵션들은 한 개 또는 여러 개의 단어로 옵션의 기능을 설명하여 놓았다. 그리고 우리는 위에서부터 차례대로 각 옵션에 단축키를 의미하는 대표 알파벳을 지정하기로 하였다. 단축키를 지정하는 법은 아래의 순서를 따른다.

  1. 먼저 하나의 옵션에 대해 왼쪽에서부터 오른쪽 순서로 단어의 첫 글자가 이미 단축키로 지정되었는지 살펴본다. 만약 단축키로 아직 지정이 안 되어있다면 그 알파벳을 단축키로 지정한다.
  2. 만약 모든 단어의 첫 글자가 이미 지정이 되어있다면 왼쪽에서부터 차례대로 알파벳을 보면서 단축키로 지정 안 된 것이 있다면 단축키로 지정한다.
  3. 어떠한 것도 단축키로 지정할 수 없다면 그냥 놔두며 대소문자를 구분치 않는다.
  4. 위의 규칙을 첫 번째 옵션부터 N번째 옵션까지 차례대로 적용한다.

입력

첫째 줄에 옵션의 개수 N(1 ≤ N ≤ 30)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1번째 줄까지 각 줄에 옵션을 나타내는 문자열이 입력되는데 하나의 옵션은 5개 이하의 단어로 표현되며, 각 단어 역시 10개 이하의 알파벳으로 표현된다. 단어는 공백 한 칸으로 구분되어져 있다.

출력

N개의 줄에 각 옵션을 출력하는데 단축키로 지정된 알파벳은 좌우에 [] 괄호를 씌워서 표현한다.

풀이

시간 복잡도

N = 30, 단어 갯수 = 5, 단어 길이 = 10 이므로, 시간제한 2초에는 충분히 들어올 수 있다.

  1. 문자열을 단어 단위로 분리한다.
  2. 단어의 첫번째 글자가 단축키가 될 수 있다면 해당 문자열 배열의 값을 변경 함.
  3. 만약 2번 과정에서 단축키를 찾지 못했다면 문자열 순서대로 단축키로 사용가능한 값을 찾아서 해당 문자열 배열의 값을 변경 함.
  4. 분리한 문자열을 합쳐서 출력

코드

package com.company.baekjoon;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HashSet;

public class B128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int N = Integer.parseInt(br.readLine());
        HashSet<Character> set = new HashSet<>();

        StringBuilder result = new StringBuilder();
        for (int i = 0; i < N; i++) {
            boolean hasCommand = false;
            String[] input = br.readLine().split(" ");

            for (int j = 0; j < input.length; j++) {
                if (!set.contains(Character.toLowerCase(input[j].charAt(0))) && !hasCommand) {
                    set.add(Character.toLowerCase(input[j].charAt(0)));
                    result.append(input[j]);
                    result.insert(0, "[");
                    result.insert(2, "]");
                    input[j] = result.toString();
                    hasCommand = true;
                    result.setLength(0);

                }
            }
            if (!hasCommand) {
                for (int j = 0; j < input.length; j++) {
                    for (int k = 0; k < input[j].length(); k++) {
                        if (!set.contains(Character.toLowerCase(input[j].charAt(k))) && !hasCommand) {
                            set.add(Character.toLowerCase(input[j].charAt(k)));
                            result.append(input[j]);
                            result.insert(k, "[");
                            result.insert(k+2, "]");
                            input[j] = result.toString();
                            hasCommand = true;
                            result.setLength(0);
                        }
                    }
                }
            }
            for (int j = 0; j < input.length; j++) {
                if (j == input.length -1) sb.append(input[j]);
                else sb.append(input[j]).append(" ");
            }
            sb.append("\\n");
        }
        System.out.println(sb);
    }
}

문제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힌 사람 정답 비율

1 초 512 MB 15785 9277 6176 57.095%

문제

길이가 N인 컨베이어 벨트가 있고, 길이가 2N인 벨트가 이 컨베이어 벨트를 위아래로 감싸며 돌고 있다. 벨트는 길이 1 간격으로 2N개의 칸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각 칸에는 아래 그림과 같이 1부터 2N까지의 번호가 매겨져 있다.

벨트가 한 칸 회전하면 1번부터 2N-1번까지의 칸은 다음 번호의 칸이 있는 위치로 이동하고, 2N번 칸은 1번 칸의 위치로 이동한다. i번 칸의 내구도는 Ai이다. 위의 그림에서 1번 칸이 있는 위치를 "올리는 위치", N번 칸이 있는 위치를 "내리는 위치"라고 한다.

컨베이어 벨트에 박스 모양 로봇을 하나씩 올리려고 한다. 로봇은 올리는 위치에만 올릴 수 있다. 언제든지 로봇이 내리는 위치에 도달하면 그 즉시 내린다. 로봇은 컨베이어 벨트 위에서 스스로 이동할 수 있다. 로봇을 올리는 위치에 올리거나 로봇이 어떤 칸으로 이동하면 그 칸의 내구도는 즉시 1만큼 감소한다.

컨베이어 벨트를 이용해 로봇들을 건너편으로 옮기려고 한다. 로봇을 옮기는 과정에서는 아래와 같은 일이 순서대로 일어난다.

  1. 벨트가 각 칸 위에 있는 로봇과 함께 한 칸 회전한다.
  2. 가장 먼저 벨트에 올라간 로봇부터, 벨트가 회전하는 방향으로 한 칸 이동할 수 있다면 이동한다. 만약 이동할 수 없다면 가만히 있는다.
  3. 로봇이 이동하기 위해서는 이동하려는 칸에 로봇이 없으며, 그 칸의 내구도가 1 이상 남아 있어야 한다.
  4. 올리는 위치에 있는 칸의 내구도가 0이 아니면 올리는 위치에 로봇을 올린다.
  5. 내구도가 0인 칸의 개수가 K개 이상이라면 과정을 종료한다. 그렇지 않다면 1번으로 돌아간다.

종료되었을 때 몇 번째 단계가 진행 중이었는지 구해보자. 가장 처음 수행되는 단계는 1번째 단계이다.

입력

첫째 줄에 N, K가 주어진다. 둘째 줄에는 A1, A2, ..., A2N이 주어진다.

출력

몇 번째 단계가 진행 중일때 종료되었는지 출력한다.

제한

  • 2 ≤ N ≤ 100
  • 1 ≤ K ≤ 2N
  • 1 ≤ A ≤ 1,000
  • i

풀이

풀이시간 : 140분

문제를 이해하는데 어려웠던 부분

  • “올린다”와 “내린다”의 개념 파악 ⇒ N개 이상 부터(아래 컨베이어 벨트)는 로봇을 올리지 않아도 된다.
  • 벨트가 이동하는 것과 로봇이 이동하는 것은 별개 ⇒ 벨트는 매 루프마다 이동하고, 로봇은 따로 이동가능한지 여부를 따져서 이동
  • 가장 먼저 올라간 로봇 부터 이동 시작 ⇒ N번부터 0번 인덱스까지 로봇 이동가능 여부 판단 해야함 

사용 자료구조

  1. top Conveyor : 큐를 사용하면 좋겠지만, 로봇 이동을 위해 인덱스 접근이 필요하므로 ArrayList 사용
  2. bottom Conveyor : Deque를 사용하여 컨테이너 이동 구현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static int K;

    public static class Belt {
        int durability;
        boolean hasRobot;
        public Belt(int durability) {
            this.durability = durability;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durability+"";
        }
    }
    static ArrayList<Belt> topConvayor = new ArrayList<>();
    static ArrayDeque<Belt> bottomConvayor = new ArrayDequ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K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loopCount = 0;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i = 0; i < N; i++) {
            topConvayor.add(new Belt(Integer.parseInt(st.nextToken())));
        }
        for (int i = 0; i < N; i++) {
            bottomConvayor.add(new Belt(Integer.parseInt(st.nextToken())));
        }
        
        while (K > 0) {
            loopCount++;
            moveBelt();
            lowerRobot();
            moveRobot();
            lowerRobot();
            raiseRobot();

        }
        System.out.println(loopCount);
    }
    public static void moveBelt() {
        topConvayor.add(0, bottomConvayor.pollLast());
        bottomConvayor.addFirst(topConvayor.get(N));
        topConvayor.remove(N);
    }
    public static void moveRobot() {
        for (int i = N-1; i > 0; i--) {
            Belt currentBelt = topConvayor.get(i-1);
            Belt nextBelt = topConvayor.get(i);
            if (currentBelt.hasRobot && !nextBelt.hasRobot && nextBelt.durability >= 1) {
                // 현재 벨트위에 로봇이 있고, 다음 벨트에 로봇이 없으며 내구도가 1이상이라면 로봇을 이동시킬 수 있다.
                currentBelt.hasRobot = false;
                nextBelt.hasRobot = true;
                nextBelt.durability -= 1;
                if (nextBelt.durability == 0) {
                    K--;
                }
            }

        }
    }
    public static void raiseRobot() {
        Belt b = topConvayor.get(0);
        if (!b.hasRobot && b.durability >= 1) { // 0번째 벨트에 로봇이 없고, 내구도가 1이상이라면 로봇을 올릴 수 있다.
            topConvayor.get(0).hasRobot = true;
            topConvayor.get(0).durability -= 1;
            if (topConvayor.get(0).durability == 0) {
                K--;
            }
        }
    }
    public static void lowerRobot() {
        topConvayor.get(N-1).hasRobot = false;
    }
}

문제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힌 사람 정답 비율

2 초 128 MB 1463 691 581 48.136%

문제

동혁이는 크로스워드 퍼즐을 좋아한다. R×C 크기의 크로스워드 퍼즐을 생각해 보자. 이 퍼즐은 R×C 크기의 표로 이루어지는데, 퍼즐을 다 풀면 금지된 칸을 제외하고는 각 칸에 알파벳이 하나씩 적혀 있게 된다. 아래는 R = 5, C = 5 인 경우 다 푼 퍼즐의 한 예이다. 검은 칸은 금지된 칸이다.

세로 또는 가로로 연속되어 있고, 더 이상 확장될 수 없는 낱말이 퍼즐 내에 존재하는 단어가 된다. 위의 퍼즐과 같은 경우, 가로 낱말은 good, an, messy, it, late의 5개가 있고, 세로 낱말은 game, one, sit, byte의 4개가 있다. 이 중 사전식 순으로 가장 앞서 있는 낱말은 an이다.

다 푼 퍼즐이 주어졌을 때, 퍼즐 내에 존재하는 모든 낱말 중 사전식 순으로 가장 앞서 있는 낱말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는 퍼즐의 R과 C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주어진다. (2 ≤ R, C ≤ 20) 이어서 R개의 줄에 걸쳐 다 푼 퍼즐이 주어진다. 각 줄은 C개의 알파벳 소문자 또는 금지된 칸을 나타내는 #로 이루어진다. 낱말이 하나 이상 있는 입력만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에 사전식 순으로 가장 앞서 있는 낱말을 출력한다.

풀이

시간복잡도

퍼즐의 크기가 20X20 이하이고, 시간제한이 2초 이므로 시간에 대해서 크게 생각하지 않고 바로구현

  1. #을 만나기전까지는 해당 위치의 문자를 버퍼에 쌓는다.
  2. #을 만난경우 리스트에 문자열을 추가하고 버퍼를 비운다.
  3. #을 만났지만 버퍼 문자열이 비어 있다면 그냥 스킵한다.
  4. 행, 열 모두 1~3의 작업을 수행한다.
  5. 리스트를 정렬하고 가장 첫번째 값이 사전순으로 가장 앞서 있는 낱말이다.

리스트에 추가하는 작업만 수행하므로 LinkedList를 선택했고 ArrayList와 비교해본 결과

LinkedList로 구현한 코드가 조금 더 빨랐다.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LinkedList;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 size = br.readLine().split(" ");
        int R = Integer.parseInt(size[0]);
        int C = Integer.parseInt(size[1]);
        char[][] array = new char[R][C];
        for (int i = 0; i < R; i++) {
            array[i] = br.readLine().toCharArray();
        }
        LinkedList<String> list = new LinkedList<>();
        StringBuilder buf = new StringBuilder();
        for (int i = 0; i < R; i++) {
            buf.setLength(0);
            for (int j = 0; j < C; j++) {
                if (array[i][j] == '#') {
                    if (buf.length() != 0) {
                        if (buf.length() > 1) list.add(buf.toString());
                        buf.setLength(0);
                    }
                } else {
                    buf.append(array[i][j]);
                }
            }
            if (buf.length() > 1) list.add(buf.toString());
        }
        for (int i = 0; i < C; i++) {
            buf.setLength(0);
            for (int j = 0; j < R; j++) {
                if (array[j][i] == '#') {
                    if (buf.length() != 0) {
                        if (buf.length() > 1) list.add(buf.toString());
                        buf.setLength(0);
                    }
                } else {
                    buf.append(array[j][i]);
                }
            }
            if (buf.length() > 1)
                list.add(buf.toString());
        }

        Collections.sort(list);
        System.out.println(list.get(0));
    }
}

문제

시간 제한 메모리 제한 제출 정답 맞힌 사람 정답 비율

1 초 512 MB 22928 8320 5196 32.708%

문제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가 있고, 모든 섬을 다리로 연결하려고 한다. 이 나라의 지도는 N×M 크기의 이차원 격자로 나타낼 수 있고, 격자의 각 칸은 땅이거나 바다이다.

섬은 연결된 땅이 상하좌우로 붙어있는 덩어리를 말하고, 아래 그림은 네 개의 섬으로 이루어진 나라이다. 색칠되어있는 칸은 땅이다.

다리는 바다에만 건설할 수 있고, 다리의 길이는 다리가 격자에서 차지하는 칸의 수이다. 다리를 연결해서 모든 섬을 연결하려고 한다. 섬 A에서 다리를 통해 섬 B로 갈 수 있을 때, 섬 A와 B를 연결되었다고 한다. 다리의 양 끝은 섬과 인접한 바다 위에 있어야 하고, 한 다리의 방향이 중간에 바뀌면 안된다. 또, 다리의 길이는 2 이상이어야 한다.

다리의 방향이 중간에 바뀌면 안되기 때문에, 다리의 방향은 가로 또는 세로가 될 수 밖에 없다. 방향이 가로인 다리는 다리의 양 끝이 가로 방향으로 섬과 인접해야 하고, 방향이 세로인 다리는 다리의 양 끝이 세로 방향으로 섬과 인접해야 한다.

섬 A와 B를 연결하는 다리가 중간에 섬 C와 인접한 바다를 지나가는 경우에 섬 C는 A, B와 연결되어있는 것이 아니다.

아래 그림은 섬을 모두 연결하는 올바른 2가지 방법이고, 다리는 회색으로 색칠되어 있다. 섬은 정수, 다리는 알파벳 대문자로 구분했다.

다리가 교차하는 경우가 있을 수도 있다. 교차하는 다리의 길이를 계산할 때는 각 칸이 각 다리의 길이에 모두 포함되어야 한다. 아래는 다리가 교차하는 경우와 기타 다른 경우에 대한 2가지 예시이다.

나라의 정보가 주어졌을 때, 모든 섬을 연결하는 다리 길이의 최솟값을 구해보자.

입력

첫째 줄에 지도의 세로 크기 N과 가로 크기 M이 주어진다.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지도의 정보가 주어진다. 각 줄은 M개의 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수는 0 또는 1이다. 0은 바다, 1은 땅을 의미한다.

출력

모든 섬을 연결하는 다리 길이의 최솟값을 출력한다. 모든 섬을 연결하는 것이 불가능하면 -1을 출력한다.

제한

  • 1 ≤ N, M ≤ 10
  • 3 ≤ N×M ≤ 100
  • 2 ≤ 섬의 개수 ≤ 6

풀이

문제요약

  1. 모든 섬을 연결하는 다리 길이의 최솟값을 구해야 함
  2. 다리의 방향은 변경될 수 없고, 길이는 2개 이상이어야 한다.
  3. 상하좌우로 붙어있다면 같은 섬이다.
  4. 섬의 경우 1, 바다의 경우 0으로 입력이 주어진다.

접근 아이디어

  1. 각 섬들별로 식별가능한 인덱스 부여 (BFS 탐색)
  2. 다리를 놓을 수 있는 모든 경우 탐색 (완전탐색)
  3. 연결 가능한 간선의 최소값 구하기 (최소 스패닝 트리 - 크루스칼)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dx = new int[] {-1,1,0,0};
    static int[] dy = new int[] {0,0,-1,1};
    static ArrayList<int[]> bridges = new ArrayLis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int answer = 0;
        String[] input = br.readLine().split(" ");

        int N = Integer.parseInt(input[0]);
        int M = Integer.parseInt(input[1]);
        int[][] graph = new int[N][M];
        boolean[][] visited = new boolean[N][M];
        for (int i = 0; i < N; i++) {
            String[] inputs = br.readLine().split(" ");
            for (int j = 0; j < M; j++) {
                graph[i][j] = Integer.parseInt(inputs[j]);
            }
        }
        int islandIndex = 1;

        ArrayList<ArrayList<int[]>> lists = new ArrayList<>();
        for (int i = 0; i <= 6; i++) { // 섬의 개수가 6개 이하이므로 6개만 만들면 댐
            lists.add(new ArrayList<int[]>());
        }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M; j++) {
                if (!visited[i][j] && graph[i][j] == 1) {
                    Queue<int[]> queue = new LinkedList<>();
                    queue.add(new int[] {i,j});
                    visited[i][j] = true;
                    graph[i][j] = islandIndex;
                    lists.get(islandIndex).add(new int[]{i,j});
                    while (!queue.isEmpty()) {
                        int[] value = queue.poll();
                        for (int k = 0; k < dx.length; k++) {
                            int cy = value[0] + dy[k];
                            int cx = value[1] + dx[k];

                            if (cx < 0 || cx >= M || cy < 0 || cy >= N) continue;
                            if (visited[cy][cx] || graph[cy][cx] == 0) continue;
                            int[] newVal = new int[]{cy,cx};
                            queue.add(newVal);
                            graph[cy][cx] = islandIndex;
                            lists.get(islandIndex).add(newVal);
                            visited[cy][cx] = true;
                        }
                    }
                    islandIndex++;
                }
            }
        }

//        // bridge에 현재값, 타겟값, 거리
        for (int i = 0; i < lists.size(); i++) {
            ArrayList<int[]> islands = lists.get(i);
            for (int j = 0; j < islands.size(); j++) {
                int[] island = islands.get(j);
                for (int k = island[0]-1; k > 0; k--) { // 위쪽 탐색
                    if (graph[k][island[1]] == graph[island[0]][island[1]])
                        break;
                    if (graph[k][island[1]] != 0) { // 0 이 아니고, 현재 값과 다르다면
                        if (island[0] - k == 2)
                            break;
                        int[] bridge = new int[3];
                        bridge[0] = graph[island[0]][island[1]];
                        bridge[1] = graph[k][island[1]];
                        bridge[2] = island[0] - k - 1;
                        bridges.add(bridge);
                        break;
                    }
                }
                for (int k = island[0]+1; k < N; k++) { // 아래쪽 탐색
                    if (graph[k][island[1]] == graph[island[0]][island[1]])
                        break;
                    if (graph[k][island[1]] != 0) { // 0 이 아니고, 현재 값과 다르다면
                        if (k - island[0] == 2)
                            break;
                        int[] bridge = new int[3];
                        bridge[0] = graph[island[0]][island[1]];
                        bridge[1] = graph[k][island[1]];
                        bridge[2] = k - island[0] - 1;
                        bridges.add(bridge);
                        break;
                    }
                }
                for (int k = island[1]-1; k > 0; k--) { // 왼쪽 탐색

                    if (graph[island[0]][k] == graph[island[0]][island[1]])
                        break;
                    if (graph[island[0]][k] != 0) { // 0 이 아니고, 현재 값과 다르다면
                        if (island[1] - k == 2) 
                            break;
                        int[] bridge = new int[3];
                        bridge[0] = graph[island[0]][island[1]];
                        bridge[1] = graph[island[0]][k];
                        bridge[2] = island[1] - k - 1;
                        bridges.add(bridge);
                        break;
                    }
                }
                for (int k = island[1]+1; k < M; k++) { // 오른쪽 탐색

                    if (graph[island[0]][k] == graph[island[0]][island[1]])
                        break;
                    if (graph[island[0]][k] != 0) { // 0 이 아니고, 현재 값과 다르다면
                        if (k - island[1] == 2)
                            break;
                        int[] bridge = new int[3];
                        bridge[0] = graph[island[0]][island[1]];
                        bridge[1] = graph[island[0]][k];
                        bridge[2] = k - island[1] - 1;
                        bridges.add(bridge);
                        break;
                    }
                }
            }
        }
        // 간선의 값을 기준으로 연결 시키기
        Collections.sort(bridges, new Comparator<int[]>() {
            @Override
            public int compare(int[] o1, int[] o2) {
                return o1[2] - o2[2];
            }
        });
        int[] arr = new int[islandIndex];
        for (int i = 1; i < arr.length; i++) {
            arr[i] = i;
        }
        for (int i = 0; i < bridges.size(); i++) {
            int[] bridge = bridges.get(i);
            int a = find(arr, bridge[0]);
            int b = find(arr, bridge[1]);
            if (a == b) continue;
            union(arr, a, b);
            answer += bridge[2];
        }
        int parent = find(arr, arr[1]);
        for (int i = 1; i < arr.length; i++) {
            if (find(arr, i) != parent) {
                answer = -1;
                break;
            }
        }
        if (answer == 0)
            answer = -1;
        System.out.println(answer);
    }
    public static int find(int[] array, int x) {
        // 내 루트노드 찾기
        if(array[x] == x) return x;
        return array[x] = find(array, array[x]);
    }
    public static void union(int[] array, int x, int y) {
        int a = find(array, x);
        int b = find(array, y);
        if(a==b)return;
        array[b] = a;
    }
}

문제

유명한 제빵사 김원웅은 빵집을 운영하고 있다. 원웅이의 빵집은 글로벌 재정 위기를 피해가지 못했고, 결국 심각한 재정 위기에 빠졌다.

원웅이는 지출을 줄이고자 여기저기 지출을 살펴보던 중에, 가스비가 제일 크다는 것을 알게되었다. 따라서 원웅이는 근처 빵집의 가스관에 몰래 파이프를 설치해 훔쳐서 사용하기로 했다.

빵집이 있는 곳은 R*C 격자로 표현할 수 있다. 첫째 열은 근처 빵집의 가스관이고, 마지막 열은 원웅이의 빵집이다.

원웅이는 가스관과 빵집을 연결하는 파이프를 설치하려고 한다. 빵집과 가스관 사이에는 건물이 있을 수도 있다. 건물이 있는 경우에는 파이프를 놓을 수 없다.

가스관과 빵집을 연결하는 모든 파이프라인은 첫째 열에서 시작해야 하고, 마지막 열에서 끝나야 한다. 각 칸은 오른쪽, 오른쪽 위 대각선, 오른쪽 아래 대각선으로 연결할 수 있고, 각 칸의 중심끼리 연결하는 것이다.

원웅이는 가스를 되도록 많이 훔치려고 한다. 따라서, 가스관과 빵집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을 여러 개 설치할 것이다. 이 경로는 겹칠 수 없고, 서로 접할 수도 없다. 즉, 각 칸을 지나는 파이프는 하나이어야 한다.

원웅이 빵집의 모습이 주어졌을 때, 원웅이가 설치할 수 있는 가스관과 빵집을 연결하는 파이프라인의 최대 개수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R과 C가 주어진다. (1 ≤ R ≤ 10,000, 5 ≤ C ≤ 500)

다음 R개 줄에는 빵집 근처의 모습이 주어진다. '.'는 빈 칸이고, 'x'는 건물이다. 처음과 마지막 열은 항상 비어있다.

출력

첫째 줄에 원웅이가 놓을 수 있는 파이프라인의 최대 개수를 출력한다.

풀이

선택 알고리즘

DFS : R*C 배열이 주어졌을 때, i,0 인덱스가 근처 빵집이고, i,C 인덱스가 원웅이의 빵집이다. 따라서, i,0부터 i,C 까지 이동할 수 있는 모든 경우를 탐색하기 때문에 DFS를 선택했다.

시간 복잡도

R개의 경우의수가 있고, depth가 C가 될때까지 반복하며, 3개의 방향으로 탐색

= 3RC

풀이

  1. 근처 빵집에서 원웅이 빵집까지 이동할 수 있는 방법은 오른쪽 위 대각선, 오른쪽, 오른쪽 아래 대각선 으로 세가지 경우가 있다. 따라서 오른쪽으로 한칸 이동 시 마다 세가지의 경우로 탐색을 시도한다.
  2. 이미 이동했던 경로는 다시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방문 배열을 생성하여 관리 해준다.
  3. 세가지 이동 경우 중 그림을 그려 봤을 때 최대한 위쪽에 붙어서 이동해야 다음 이동 시에 갈 수 있는 경우를 최대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함.

코드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R;
    static int C;
    static char[][] graph;
    static boolean[][] visited;
    static int answer = 0;
    static boolean flag = false;
    static int[] dy = new int[] {-1, 0, 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 size = br.readLine().split(" ");

        R = Integer.parseInt(size[0]);
        C = Integer.parseInt(size[1]);

        graph = new char[R][C];
        visited = new boolean[R][C];
        for (int i = 0; i < R; i++) {
            graph[i] = br.readLine().toCharArray();
        }

        for (int i = 0; i < R; i++) {
            visited[i][0] = true; // 0번 부터 시작
            dfs(i, 0,0); // 도달 가능한지 탐색
            flag = false; // 플래그 초기화
        }
        System.out.println(answer);
    }
    public static void dfs(int y, int x, int depth) {
        if (depth == C-1) {
            answer++; // 끝까지 도달했다면 답 1추가
            flag = true; // 끝까지 도달했으므로 더이상 탐색하지 말고 돌아오도록 플래그 설정
            return;
        }

        for (int i = 0; i < dy.length; i++) {
            if (flag) // 플래그 설정되었다면 더이상 탐색하지 않고 돌아와
                break;
            int currentX = x + 1; 
            int currentY = y + dy[i]; // 3방향으로 탐색

            if (currentY < 0 || currentY >= R) continue;
            if (visited[currentY][currentX] || graph[currentY][currentX] == 'x') continue;
            visited[currentY][currentX] = true;
            dfs(currentY, currentX, depth + 1);
        }
    }
}
문제

N×N크기의 땅이 있고, 땅은 1×1개의 칸으로 나누어져 있다. 각각의 땅에는 나라가 하나씩 존재하며, r행 c열에 있는 나라에는 A[r][c]명이 살고 있다. 인접한 나라 사이에는 국경선이 존재한다. 모든 나라는 1×1 크기이기 때문에, 모든 국경선은 정사각형 형태이다.

오늘부터 인구 이동이 시작되는 날이다.

인구 이동은 하루 동안 다음과 같이 진행되고, 더 이상 아래 방법에 의해 인구 이동이 없을 때까지 지속된다.

  • 국경선을 공유하는 두 나라의 인구 차이가 L명 이상, R명 이하라면, 두 나라가 공유하는 국경선을 오늘 하루 동안 연다.
  • 위의 조건에 의해 열어야하는 국경선이 모두 열렸다면, 인구 이동을 시작한다.
  • 국경선이 열려있어 인접한 칸만을 이용해 이동할 수 있으면, 그 나라를 오늘 하루 동안은 연합이라고 한다.
  • 연합을 이루고 있는 각 칸의 인구수는 (연합의 인구수) / (연합을 이루고 있는 칸의 개수)가 된다. 편의상 소수점은 버린다.
  • 연합을 해체하고, 모든 국경선을 닫는다.

각 나라의 인구수가 주어졌을 때, 인구 이동이 며칠 동안 발생하는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 L, R이 주어진다. (1 ≤ N ≤ 50, 1 ≤ L ≤ R ≤ 100)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각 나라의 인구수가 주어진다. r행 c열에 주어지는 정수는 A[r][c]의 값이다. (0 ≤ A[r][c] ≤ 100)

인구 이동이 발생하는 일수가 2,000번 보다 작거나 같은 입력만 주어진다.

출력

인구 이동이 며칠 동안 발생하는지 첫째 줄에 출력한다.

풀이

선택 알고리즘

BFS - 국경선을 이을 수 있는지 여부는 2차원배열의 상하좌우로 탐색하는 방식에 유리한 BFS를 선정함

시간 복잡도

전체 후보를 모두 방문해야 하고, NxN 배열을 방문하므로 N제곱 X N제곱 (BFS)

N의 네제곱이므로, 50 X 50 X 50 X 50 = 6,250,000으로 계산

구현

  1. 모든 땅을 방문하여, 국경선을 열 수 있는 경우, 국경선을 공유 가능한 모든 땅의 좌표를 arrayList에 담아서 보관하고, 탐색이 끝났다면 큐에 보관한 어레이리스트를 저장 → 인구 이동이 일어나는 경우가 하루에 여러 땅에서 일어날 수 있기 때문에 각각 관리해줘야 한다.
  2. 큐가 비어있지 않다면 어레이리스트를 꺼내서 국경선을 공유하는 모든 땅의 값을 업데이트 해줌
  3. 만약 그 어디도 방문하지 못했다면 (국경선을 공유할 수 있는 땅이 없다면), 종료한다.

코드

package com.company.baekjoon;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BaekJoon16234 {
    static int N;
    static int L;
    static int R;
    static int[][] arr;
    static boolean[][] union;
    static Queue<int[]> queue;
    static Queue<ArrayList<int[]>> a = new LinkedList<>();
    static ArrayList<int[]> arrayList = new ArrayList<>();
    static int[] dx = new int[] { -1, 1, 0, 0};
    static int[] dy = new int[] { 0, 0, -1, 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N = Integer.parseInt(st.nextToken());
        L = Integer.parseInt(st.nextToken());
        R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answer = 0;
        arr = new int[N][N];
        union = new boolean[N][N];
        for (int i = 0; i < N;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for (int j = 0; j < N; j++) {
                arr[i][j]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

        queue = new LinkedList<>();

        while (true) {
           for (boolean booleans[]: union) {
                Arrays.fill(booleans, false);
            }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if (!union[i][j]) {
                        queue.add(new int[]{i,j});
                        bfs();
                        if (arrayList.size() > 0) {
                            a.add((ArrayList<int[]>) arrayList.clone());
                            arrayList.clear();
                        }
                    }
                }
            }
            while (!a.isEmpty()) {
                ArrayList<int[]> list = a.poll();

                int size = list.size();
                int sum = 0;

                if (size == 0) { // 인구이동 후보가 없음
                    break;
                }

                for (int k = 0; k < size; k++) {
                    int[] n = list.get(k);
                    sum += arr[n[0]][n[1]];
                }
                int value = sum / size;
                for (int k = 0; k < size; k++) {
                    int[] n = list.get(k);
                    arr[n[0]][n[1]] = value;
                }
            }

            arrayList.clear();

            // 만약 더이상 진행할 수 없을 경우 (아무 지역도 후보가 될 수 없는 경우)
            boolean isContinue = false;
            for (int i = 0; i < N; i++) {
                for (int j = 0; j < N; j++) {
                    if (union[i][j])
                        isContinue = true;
                }
            }
            if (!isContinue)
                break;

            // 모든 나라 검사 다 했으면 1 증가함.
            answer++;

        }
        System.out.println(answer);
    }
    public static void bfs() {
        while (!queue.isEmpty()) {
            int[] nation = queue.poll();
            for (int i = 0; i < dx.length; i++) {
                int currentX = nation[0] + dx[i];
                int currentY = nation[1] + dy[i];

                if (currentX < 0 || currentX >= N || currentY < 0 || currentY >= N) continue;
                if (union[currentX][currentY]) continue; // 이미 방문한경우
                if (Math.abs(arr[nation[0]][nation[1]] - arr[currentX][currentY]) >= L &&
                        Math.abs(arr[nation[0]][nation[1]] - arr[currentX][currentY]) <= R) { // 국경이 열림
                    if (!union[nation[0]][nation[1]]) {
                        union[nation[0]][nation[1]] = true;
                        arrayList.add(new int[]{nation[0], nation[1]});
                    }
                    union[currentX][currentY] = true;
                    queue.add(new int[]{currentX, currentY});
                    arrayList.add(new int[]{currentX, currentY});
                }
            }
        }
    }
}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