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퍼블릭 액세스 가능한 RDS를 VPC에 생성하기
·
Infra
AWS에서 RDS를 생성하고 로컬 개발환경에서 외부(DBeaver 등)에서 연결하려고 할 때,퍼블릭 액세스가 안 돼서 타임아웃 나는 경우, 대부분은 VPC 및 서브넷 설정이 잘못되어 있기 때문입니다.이번 포스트에서는 퍼블릭 액세스 가능한 RDS 인스턴스를 직접 생성하면서 겪은 문제와 해결 방법을 정리합니다.현재 구성은 AWS 실습 및 테스트를 위한 구성 설정이므로, 운영 환경에서 아래처럼 구성하는 것은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저는 테스트를 위한 용도로 구성했으니 참고해주세요!✅ 목표VPC 내에 퍼블릭 / 프라이빗 서브넷 구분퍼블릭 서브넷에 RDS 인스턴스를 배치외부 툴 (ex. DBeaver)에서 접속 가능하도록 설정 RDS 연결 안 될 때 점검 순서RDS → Publicly Accessible = ✅ Y..
DVA-C02 자격증 후기
·
박현우
개요SAA-C03, Github Foundations에 이어 올해 마지막으로 DVA-C02 자격증을 취득했다. SAA-C03를 공부하면서 다양한 AWS 서비스의 존재 여부와 전체적인 틀에 대해서 알 수 있었고, DVA-C02의 경우는 이 서비스들 중에 특정 서비스를 다루는 방법이라고 들어 자격증을 준비했다. SAA-C03에 비해 느슨하게 준비했었지만 간단한 후기를 올려본다.공부방법SAA-C03 취득 이후 약 4개월이 지났는데, 공부는 회사 업무가 끝나고 틈틈히 공부했다. 아마 3주정도 공부한 것 같다. 나는 별도로 Udemy강의는 듣지 않았고, examTopics의 덤프 문제를 1.5회독 했다.dump문제가 약 400개 있었는데, 시험치기 전까지 1회독 이후 200번 정도까지 한번 더 본 것 같다. 헷갈..
SAA-C03 자격증 후기
·
박현우
자격증따자최근 이직을 하면서 취준 기간동안 스스로 개발 능력의 부족함 보다는 내가 잘 할 수 있는 기술임에도 어필 할 수 있는 부분들이 부족해서 아쉬웠던 순간들이 있었다. 2024년 하반기의 목표로 나는 자격증을 2개 따는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그중에 꼭 그 타이틀을 가지고 싶었던.. AWS 자격증(SAA-C03)을 따기위해 공부했던 방식을 공유하고자 글을 작성한다.원래는 CLF-C02 (Practioner) 자격증을 먼저 따려고 했는데, 초급자용이라고 해서 좀더 쎄보이는? Associate 자격증을 따기로 마음을 바꿨다..또한 나는 실무에서 AWS 서비스를 사용했던 경험은 없고 EC2, RDS, S3 서비스로 SSAFY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했던 경험만 있었다.취득과정나는 Udemy 강의 없이 Exam..